코막힘
코막힘은 콧속 공간이 좁아지거나 막혀 숨쉬기가 불편해지는 증상이다. 비강 내부의 점막이 붓거나, 과도한 점액 분비, 이물질, 종양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원인
- 감염: 감기, 독감, 부비동염 등의 바이러스 또는 세균 감염은 코 점막을 붓게 하여 코막힘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 알레르기: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등 알레르겐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은 코 점막을 자극하여 붓게 하고 점액 분비를 증가시켜 코막힘을 일으킬 수 있다. 알레르기 비염이 대표적인 예이다.
- 비중격 만곡증: 콧속 중앙의 뼈인 비중격이 휘어져 한쪽 콧구멍을 막아 코막힘을 유발할 수 있다.
- 비강 폴립 (콧물혹): 콧속에 물혹이 생겨 코막힘, 후각 감퇴, 콧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 혈관운동성 비염: 특정 자극 (온도 변화, 습도 변화, 매운 음식, 담배 연기 등)에 의해 코 점막의 혈관이 확장되어 코막힘이 발생할 수 있다.
- 약물: 특정 약물 (혈압약, 피임약 등)의 부작용으로 코막힘이 나타날 수 있다.
- 기타: 드물게는 종양, 이물질 등으로 인해 코막힘이 발생하기도 한다.
증상
코막힘은 답답함, 두통, 후각 감퇴, 수면 장애, 구강 호흡 등의 다양한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영유아의 경우 코막힘으로 인해 수유에 어려움을 겪거나, 밤에 잠을 잘 이루지 못할 수 있다.
진단
코막힘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이비인후과 전문의는 비경 검사, 내시경 검사, 알레르기 검사, CT 촬영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치료
코막힘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다.
- 감염: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해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 알레르기: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비강 스프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알레르겐 회피 요법도 중요하다.
- 비중격 만곡증, 비강 폴립: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 혈관운동성 비염: 원인이 되는 자극을 피하고, 필요에 따라 혈관 수축제나 스테로이드 비강 스프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 일반적인 코막힘 완화: 생리식염수 세척, 가습기 사용 등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주의사항
코막힘이 지속되거나, 심한 두통, 고열, 누런 콧물 등의 증상이 동반될 경우 반드시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