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313건

석실분

석실분(石室墳)은 무덤의 한 종류로, 시신을 안치하는 공간인 매장 주체부를 돌을 이용하여 널방[玄室] 형태로 구축한 무덤을 말한다. 돌방무덤이라고도 불린다. 주로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시대에 걸쳐 나타나며, 특히 고구려 고분벽화가 그려진 석실분은 역사,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구조

석실분은 크게 봉분, 연도(羨道), 널방(玄室)으로 구성된다. 봉분은 무덤을 덮는 흙 또는 돌무더기로, 형태는 원형, 방형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연도는 널방으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며, 널방은 시신과 껴묻거리를 안치하는 공간이다. 널방의 형태는 사각형이 일반적이지만, 고구려 고분 중에는 여러 개의 방으로 이루어진 다실분도 존재한다. 석실을 구축하는 방식은 다양하며, 벽돌을 사용하기도 한다.

특징

  • 도굴의 용이성: 석실분은 구조상 도굴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연도를 통해 널방에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벽화: 고구려 석실분 중 상당수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다. 벽화는 당시 생활 모습, 신앙, 사상 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껴묻거리: 석실분에서는 다양한 껴묻거리가 출토된다. 금관, 장신구, 토기, 무기 등이 대표적이며, 피장자의 신분과 당시 사회상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분포

석실분은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되지만, 특히 고구려의 영향권이었던 지역과 백제의 수도였던 지역에서 많이 나타난다. 고구려 석실분은 평안남도, 황해도 일대에 집중되어 있으며, 백제 석실분은 서울, 공주, 부여 등에서 확인된다. 신라 석실분은 경주를 중심으로 분포한다.

참고 문헌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고고학 용어사전》.
  • 한국고고학회. (2002). 《한국고고학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