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락지
취락지란 사람들이 모여 집을 짓고 생활하는 장소, 즉 마을을 이루고 있는 지역을 의미한다. 취락(聚落)은 모일 취(聚)와 마을 락(落)으로 구성된 단어로, 인간의 정주 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적 단위이다. 취락지는 단순히 주거 공간뿐만 아니라 농업, 어업, 상업 등 다양한 경제 활동과 사회 문화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자연환경, 사회 경제적 조건, 역사적 배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되고 변화한다.
취락의 유형
취락은 입지 조건, 가옥의 분포 형태, 경제 활동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입지 조건에 따른 분류: 산지 취락, 평야 취락, 해안 취락, 하천 취락 등 지형적 특징에 따라 구분된다.
- 가옥 분포 형태에 따른 분류: 촌락의 가옥 배열 방식에 따라 집중촌, 산촌, 선상촌 등으로 나뉜다. 집중촌은 가옥이 한 곳에 모여 있는 형태이며, 산촌은 가옥이 흩어져 있는 형태, 선상촌은 도로 또는 하천을 따라 가옥이 일렬로 늘어선 형태이다.
- 경제 활동에 따른 분류: 농촌, 어촌, 광촌, 공업 도시, 상업 도시 등으로 구분된다. 농촌은 농업을 주된 경제 활동으로 하는 취락이며, 어촌은 어업, 광촌은 광업, 공업 도시는 공업, 상업 도시는 상업을 중심으로 발전한 취락이다.
취락의 기능
취락은 주민들의 주거 공간으로서의 기능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 생산 기능: 농산물, 수산물, 광물 등 다양한 자원을 생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교통·통신 기능: 외부 지역과의 연결을 담당하며, 정보 교류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사회·문화 기능: 교육, 종교, 문화 활동 등 주민들의 사회 문화 생활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행정 기능: 행정 서비스 제공 및 지역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취락의 변화
산업화, 도시화, 정보화 등의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라 취락의 모습과 기능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농촌 인구 감소, 고령화, 공동화 현상 등이 나타나기도 하며, 도시의 과밀화, 환경 문제, 교통 문제 등이 심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취락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 수립과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