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삭
축삭은 뉴런(신경세포)의 일부로, 신경 세포체(세포체)에서 발생하여 다른 뉴런, 근육 세포 또는 분비샘 세포로 신호를 전달하는 긴, 가느다란 돌기이다. 축삭은 일반적으로 세포체보다 훨씬 길고, 가지를 치는 경우도 있지만, 세포체에서 뻗어나가는 단일 돌기 형태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축삭을 따라 전달되는 신호는 활동전위(action potential)라는 전기적 신호의 형태를 취하며, 신경 전달 물질의 방출을 통해 다른 세포에 전달된다.
축삭의 표면은 수초(myelin sheath)로 덮여 있는 경우와 덮여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수초는 지방질 성분의 막으로, 축삭을 절연시켜 활동전위의 전달 속도를 크게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초는 슈반 세포(말초신경계) 또는 희소돌기아교세포(중추신경계)에 의해 형성된다. 수초가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은 랑비에 결절(node of Ranvier)이라고 불리며, 이곳에서 활동전위가 도약적으로 전파된다(saltatory conduction). 이러한 도약 전도는 수초가 덮인 축삭에서 신호 전달 속도를 훨씬 빠르게 만든다.
축삭의 말단 부분은 축삭 종말(axon terminal) 또는 신경종말(nerve terminal)이라고 불리며, 이곳에서 신경 전달 물질이 저장되어 방출된다. 신경 전달 물질은 시냅스(synapse)라는 접합부를 통해 다른 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호를 전달한다. 축삭의 직경과 수초화의 정도는 신경 신호 전달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축삭의 손상은 신경계 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신경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