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농증
축농증은 코 주위 얼굴 뼈 속에 있는 빈 공간인 부비동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이다. 부비동은 코와 연결되어 있어 환기와 분비물 배출이 이루어지는데, 여러 원인에 의해 부비동의 입구가 막히거나 기능이 저하되면 부비동 내에 염증이 발생하고 농이 축적된다.
원인
축농증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감염: 감기, 독감 등의 바이러스 감염이나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 알레르기: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인해 코 점막이 부어오르고 부비동 입구를 막아 발생할 수 있다.
- 비중격만곡증: 코 안의 연골인 비중격이 휘어져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고 부비동 기능을 저하시켜 발생할 수 있다.
- 물혹 (비용): 코 안에 생기는 물혹이 부비동 입구를 막아 발생할 수 있다.
- 면역력 저하: 면역력이 저하되면 감염에 취약해져 축농증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증상
축농증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코막힘: 코가 막혀 숨쉬기 어렵고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 콧물: 누렇거나 초록색의 끈적한 콧물이 나온다.
- 얼굴 통증: 눈 주위, 이마, 뺨 등에 압박감이나 통증이 느껴질 수 있다.
- 후각 감퇴: 냄새를 잘 맡지 못하거나 맛을 제대로 느끼지 못할 수 있다.
- 기침: 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 기침을 유발할 수 있다.
- 두통: 머리가 무겁고 띵한 느낌이 들 수 있다.
- 피로감: 몸이 쉽게 피로해지고 집중력이 저하될 수 있다.
진단
축농증은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단한다.
- 신체 검진: 의사가 코 안을 직접 확인하고 증상을 청취한다.
- 비강 내시경: 내시경을 이용하여 코 안과 부비동 입구를 직접 관찰한다.
- CT 촬영: 부비동의 상태를 자세히 확인하기 위해 CT 촬영을 할 수 있다.
- 알레르기 검사: 알레르기가 의심되는 경우 알레르기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치료
축농증의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약물 치료: 항생제, 소염제, 점액 용해제 등을 사용하여 염증을 줄이고 증상을 완화한다.
- 생리식염수 세척: 코 안을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여 콧물을 제거하고 염증을 완화한다.
- 스테로이드 스프레이: 코 점막의 염증을 줄여 코막힘을 개선한다.
- 수술: 약물 치료로 효과가 없거나 물혹, 비중격만곡증 등이 있는 경우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내시경을 이용한 부비동 수술이 주로 시행된다.
예방
축농증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 손 씻기: 손을 자주 씻어 감염을 예방한다.
- 실내 습도 유지: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여 코 점막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 알레르기 관리: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피하고 알레르기 치료를 꾸준히 한다.
- 금연: 흡연은 코 점막을 손상시키므로 금연한다.
-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면역력을 강화하기 위해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물을 많이 마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