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312건

구릉

구릉(丘陵)은 평야나 산지 사이의 기복이 완만한 작은 언덕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지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해발 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하며, 둥글거나 넓적한 형태를 띤다.

형성 과정

구릉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 침식 작용: 산지가 오랜 기간에 걸쳐 풍화 및 침식 작용을 받아 낮아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차별 침식에 의해 암석의 강도 차이에 따라 깎여나가면서 다양한 높이의 구릉이 나타나기도 한다.
  • 퇴적 작용: 하천, 빙하, 바람 등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쌓여 형성될 수 있다. 빙퇴구릉(드럼린)이나 사구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 지각 운동: 완만한 습곡이나 단층 작용으로 인해 지표면이 융기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특징

  • 낮은 고도: 일반적으로 해발 고도가 높지 않으며, 평야와 산지의 중간적인 형태를 띤다.
  • 완만한 경사: 경사가 완만하여 농경지나 주거지로 이용되기 용이하다.
  • 다양한 식생: 기후 및 토양 조건에 따라 다양한 식생이 분포하며, 숲이나 초원 등으로 덮여 있는 경우가 많다.

활용

구릉은 완만한 지형과 비교적 비옥한 토양 덕분에 농경지로 많이 이용된다. 또한, 주거지, 목초지, 관광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기도 한다. 구릉 지형을 활용한 대표적인 예로는 유럽의 포도밭이나 대한민국의 차밭 등을 들 수 있다.

참고 문헌

  • 지리학 사전
  • 한국지리정보연구회 (2005). 한국지리강의. 한울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