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3,472건

추녀마루

추녀마루는 한식 건축의 지붕에서 용마루에서 내려온 추녀 위에 얹는 마루를 말한다. 지붕의 곡선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이며, 처마를 형성하는 추녀의 맨 윗부분을 덮어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막고, 건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꾸미는 역할을 한다.

형태 및 구조

추녀마루는 일반적으로 기와를 사용하여 쌓으며, 그 형태와 구조는 건물의 규모와 형식에 따라 다양하다. 주로 암막새와 수막새를 번갈아 쌓아 올리며, 마루의 끝부분에는 용두, 봉황두, 귀면와 등의 장식 기와를 올려 화려함을 더하기도 한다. 또한, 추녀마루 안쪽에는 흙이나 회반죽을 채워 넣어 기와의 안정성을 높이고 틈새를 메워 방수 효과를 강화한다.

기능

  • 방수: 추녀의 가장 취약한 부분인 윗면을 덮어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막아 건물 내부를 보호한다.
  • 구조적 안정성: 추녀를 단단하게 결합하여 지붕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안정성을 높인다.
  • 장식: 건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꾸미고, 건물의 위엄과 권위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관련 용어

  • 용마루: 지붕의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마루.
  • 추녀: 지붕의 모서리에 있는 서까래.
  • 암막새: 기와 중 볼록한 형태의 기와.
  • 수막새: 기와 중 오목한 형태의 기와.
  • 용두: 용의 머리 모양을 한 장식 기와.

참고 문헌

  • 한국건축사
  • 문화재대관 - 중요민속자료 해설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