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926건

청신경

청신경 (聽神經, Vestibulocochlear nerve) 또는 내이신경(內耳神經)은 뇌신경의 여덟 번째 쌍으로, 머리 속 공간에서 평형 감각과 청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감각신경에 해당하며, 전정신경과 와우신경의 두 가지 주요 부분으로 구성된다.

구조 및 기능

  • 전정신경 (Vestibular nerve): 내이의 전정 기관에서 발생하는 평형 감각 정보를 뇌로 전달한다. 전정 기관은 머리의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정신경의 손상은 현기증, 균형 장애, 메스꺼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와우신경 (Cochlear nerve): 달팽이관 (와우)에서 발생하는 청각 정보를 뇌로 전달한다. 달팽이관은 소리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와우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한다. 와우신경의 손상은 난청, 이명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청신경은 내이에서 시작하여 내이도를 통해 두개골 안으로 들어가 뇌간에 연결된다. 뇌간에서 청신경은 다양한 뇌 영역으로 연결되어 청각 및 평형 감각 정보가 처리된다.

임상적 중요성

청신경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흔한 질환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청신경초종 (Acoustic neuroma): 청신경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청력 감소, 이명, 현기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종양이 커질 경우 안면신경, 삼차신경 등의 다른 뇌신경을 압박하여 안면 마비, 감각 저하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

  • 메니에르병 (Meniere's disease): 내이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현기증, 이명, 난청 등의 증상을 반복적으로 유발한다.

  • 전정신경염 (Vestibular neuritis): 전정신경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심한 현기증, 구토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청신경 질환의 진단에는 청력 검사, 전정 기능 검사, MRI 등의 영상 검사가 활용된다. 치료는 질환의 종류와 심각도에 따라 약물 치료, 수술, 재활 치료 등이 고려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