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산
지방산은 탄소, 수소, 산소로 구성된 유기 화합물로, 카르복실기(-COOH)를 가지고 있는 사슬 모양의 분자입니다. 생체 내에서 중요한 에너지원이며, 세포막의 주요 구성 성분이고,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의 전구체로 작용합니다.
분류:
지방산은 탄소 사슬의 길이나 구조, 불포화 결합의 유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습니다.
-
포화 지방산: 탄소 사슬 내에 이중 결합이 없는 지방산입니다. 상온에서 고체 상태인 경우가 많으며, 과다 섭취 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예: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
불포화 지방산: 탄소 사슬 내에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가진 지방산입니다.
- 단일 불포화 지방산: 탄소 사슬 내에 이중 결합이 하나 있는 지방산입니다. (예: 올레산)
- 다중 불포화 지방산: 탄소 사슬 내에 이중 결합이 두 개 이상 있는 지방산입니다. 오메가-3 지방산과 오메가-6 지방산이 대표적입니다. (예: 리놀레산, 알파-리놀렌산, EPA, DHA)
-
필수 지방산: 인체 내에서 스스로 합성할 수 없어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는 지방산입니다. 오메가-3 지방산과 오메가-6 지방산이 이에 해당합니다.
생체 내 역할:
- 에너지원: 지방산은 체내에서 산화되어 ATP를 생성하는 중요한 에너지원입니다.
- 세포막 구성 성분: 세포막의 인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입니다.
- 호르몬 전구체: 일부 지방산은 프로스타글란딘, 트롬복산, 류코트리엔과 같은 호르몬 유사 물질의 전구체로 작용합니다.
- 지용성 비타민 흡수 촉진: 지용성 비타민(A, D, E, K)의 흡수를 돕습니다.
섭취 시 주의사항:
지방산은 건강에 필수적인 영양소이지만, 종류와 섭취량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습니다. 포화 지방산의 과다 섭취는 피하고, 불포화 지방산을 적절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필수 지방산은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