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4,386건

좌랑

좌랑은 한국의 역사적인 관직 중 하나이다. 주로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존재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특히 중앙 관제인 육조(六曹)를 비롯한 여러 관서에 소속되어 정6품(正六品)의 품계를 가졌다.

조선 시대 육조의 경우, 각 조(曹)는 여러 개의 사(司)로 나뉘어 있었고, 각 사의 실무를 담당하는 하급 관직으로 정5품(正五品)의 정랑(正郎) 1명과 정6품의 좌랑 1명이 배치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을 통틀어 낭관(郎官) 또는 낭청(郎廳)이라 불렀다. 좌랑은 정랑을 보좌하며 해당 사의 행정 업무를 처리하고 서류를 관리하는 등 실무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비록 품계는 낮았으나, 실제 행정의 최일선에서 업무를 처리하며 실무 경험을 쌓는 중요한 자리로 여겨졌다. 육조 외에도 사헌부, 사간원 등 다른 중앙 관서에도 좌랑 직책이 존재했다.

고려 시대에도 좌랑이라는 명칭의 관직이 있었으나, 소속 관청이나 역할, 품계 등에서 조선 시대의 좌랑과는 차이가 있었다. 조선 시대 좌랑은 문관직이었으며, 인사 이동이 비교적 잦아 여러 부서를 경험하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