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발사순항미사일
공중발사순항미사일(空 Jung 발사巡航 미사일, Air-Launched Cruise Missile, ALCM)은 항공기에 탑재되어 발사되는 순항미사일의 한 종류이다. 일반적인 순항미사일과 마찬가지로 제트 엔진을 사용하여 아음속으로 비행하며, 자체 유도 장치를 통해 목표물을 타격한다. 공중 발사를 통해 지상 발사 방식에 비해 사거리가 늘어나고, 발사 플랫폼의 이동성을 활용하여 생존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징
- 발사 플랫폼: 주로 전략 폭격기, 공격기 등 대형 항공기에 탑재되어 발사된다.
- 유도 방식: 관성항법장치(INS), 위성항법장치(GPS), 지형대조항법(TERCOM), 디지털 장면 정합 방식(DSMAC) 등 다양한 유도 방식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정확도를 높인다.
- 사거리: 수백 킬로미터에서 수천 킬로미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전략적인 목표 타격에 사용될 수 있다.
- 장점:
- 사거리 연장: 항공기를 이용한 발사로 인해 지상 발사 대비 사거리가 증대된다.
- 생존성: 발사 플랫폼인 항공기의 이동성으로 인해 적의 공격으로부터 생존성이 높다.
- 기습 공격: 적 방공망의 사각지대를 이용한 기습 공격이 가능하다.
- 단점:
- 발사 플랫폼 의존성: 발사를 위해서는 대형 항공기가 필요하며, 항공기의 운용 능력에 따라 작전 수행 능력이 좌우된다.
- 기상 조건: 악천후 시 발사 및 유도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주요 공중발사순항미사일
- AGM-86 ALCM (미국): B-52 폭격기에 탑재되어 운용되는 장거리 공중발사순항미사일이다.
- AGM-129 ACM (미국): 스텔스 기능을 갖춘 공중발사순항미사일이었으나, 현재는 퇴역하였다.
- Kh-55 (러시아): Tu-95 폭격기에 탑재되어 운용되는 장거리 공중발사순항미사일이다.
- Kh-101 (러시아): Kh-55의 후속 모델로, 스텔스 기능을 강화한 장거리 공중발사순항미사일이다.
- 스톰 섀도우 (영국/프랑스): 라팔, 토네이도 등에 탑재되어 운용되는 공대지 순항미사일이다.
활용
공중발사순항미사일은 전략적 목표, 즉 적의 지휘 통제 시설, 주요 군사 시설, 산업 시설 등을 타격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적의 방공망이 강력한 지역에 대한 공격 시, 항공기의 생존성을 높이고 목표 타격 성공률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