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292건

조면암

조면암 (粗面岩, Trachyte)은 화산암의 일종으로, 주로 알칼리 장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장석의 함량은 매우 적거나 거의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조면(粗面)"이라는 이름은 이 암석의 거친 표면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알칼리 장석 결정들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성분 및 특징

조면암은 SiO2 함량이 60-65% 정도로 중성 내지 산성 암석에 속하며, 알칼리 성분(Na2O, K2O)이 풍부합니다. 주요 구성 광물은 새니딘(sanidine), 정장석(orthoclase)과 같은 알칼리 장석이며, 소량의 사장석, 흑운모, 각섬석, 휘석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석영은 일반적으로 포함되지 않지만, 극히 드물게 소량 존재할 수 있습니다. 조직은 주로 유리질 또는 은미정질이며, 반상 조직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생성 과정

조면암은 현무암질 마그마가 분화 작용을 거쳐 생성되거나, 심성암인 섬장암질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되어 급격히 냉각되면서 형성됩니다. 알칼리 성분이 풍부한 마그마에서 주로 나타나며, 대륙 지각의 열곡대나 해양섬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용도

조면암은 건축 자재, 도로 포장재, 시멘트 원료 등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내구성이 뛰어나 건축물의 외장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희귀 원소나 광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광물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기도 합니다.

분포

조면암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대표적인 산출 지역으로는 독일의 드라헨펠스(Drachenfels), 이탈리아의 캄피 플레그레이(Campi Flegrei), 미국의 옐로스톤 국립공원(Yellowstone National Park) 등이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제주도에서 조면암이 발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