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9,005건

정법

정법(正法)은 불교 용어로, 부처의 가르침, 특히 바르게 실천되어야 할 가르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세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1. 교법정법(敎法正法): 부처의 가르침 그 자체, 즉 경(經)・율(律)・론(論) 삼장을 가리킨다. 이는 언어로 표현된 가르침으로서, 불교의 근본 사상을 담고 있다.

  2. 이행정법(修行正法): 부처의 가르침에 따라 바르게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순히 이론적인 이해를 넘어, 실제 삶에서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을 강조한다. 팔정도(八正道)와 같은 구체적인 수행 방법을 통해 이행정법을 실현할 수 있다.

  3. 증과정법(證果正法): 수행의 결과로서 얻어지는 깨달음, 즉 열반(涅槃)을 의미한다. 바른 가르침을 따르고 수행함으로써 도달할 수 있는 궁극적인 목표이다.

정법은 부처가 입멸한 후에도 그 가르침이 올바르게 유지되고 실천되는 기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불교에서는 정법시대, 상법시대, 말법시대로 시대를 구분하는데, 정법시대는 부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유지되고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사람이 많은 시대를 의미한다.

정법이라는 용어는 불교 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불교의 핵심 가르침과 실천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