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음
유성음(有聲音, voiced sound)은 발음할 때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소리이다. 폐에서 나오는 공기가 성대를 통과하면서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진다. 성대의 진동 여부에 따라 무성음과 대립되는 개념이다.
특징
- 진동: 유성음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성대의 규칙적인 진동이다. 이 진동은 후두에서 느껴질 수 있으며, 특정 주파수를 갖는 음파를 생성한다.
- 모음: 일반적으로 모든 모음은 유성음이다.
- 자음: 많은 자음 또한 유성음으로 발음된다. 한국어에서는 'ㄱ', 'ㄷ', 'ㅂ', 'ㅅ', 'ㅈ'의 된소리 (ㄲ, ㄸ, ㅃ, ㅆ, ㅉ)와 거센소리 (ㅋ, ㅌ, ㅍ, ㅊ)를 제외한 대부분의 자음이 유성음 또는 무성음으로 발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ㄴ', 'ㄹ', 'ㅁ', 'ㅇ'은 항상 유성음이며, 'ㄱ', 'ㄷ', 'ㅂ', 'ㅅ', 'ㅈ'은 단어의 첫머리에서는 무성음으로, 모음 사이에서는 유성음으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 언어별 차이: 유성음의 종류와 분포는 언어마다 다르다. 어떤 언어는 유성음 자음이 풍부한 반면, 다른 언어는 유성음 자음이 거의 없을 수도 있다.
예시
다음은 몇 가지 유성음의 예시이다.
- 한국어: '나', '다', '마', '바', '아', '자', '가', '라' 등 (모음 및 일부 자음)
- 영어: /b/, /d/, /g/, /v/, /z/, /m/, /n/, /l/, /r/, /w/, /j/ 등
참고
- 무성음
- 음성학
- 조음음성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