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저혈압

저혈압 (Hypotension)은 동맥 혈압이 정상 범위보다 낮은 상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90mmHg 미만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60mmHg 미만인 경우를 저혈압이라고 정의한다. 하지만 혈압 수치 자체가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며, 개인의 평소 혈압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은 경우, 혹은 저혈압으로 인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 문제가 될 수 있다.

개요

저혈압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어지러움, 현기증, 피로감, 시야 흐림, 구역질, 집중력 저하, 심한 경우 실신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저혈압의 원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며,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관리가 가능하다.

분류

저혈압은 발생 원인 및 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기립성 저혈압 (Orthostatic Hypotension): 갑자기 일어설 때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 노인, 탈수, 특정 약물 복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식후 저혈압 (Postprandial Hypotension): 식사 후 혈압이 떨어지는 현상. 소화를 위해 혈액이 위장관으로 몰리면서 발생할 수 있다. 주로 노인에게서 나타난다.
  • 신경매개성 저혈압 (Neurally Mediated Hypotension): 장시간 서 있을 때, 감정적인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타나는 저혈압. 주로 젊은 층에서 발생한다.
  • 만성 특발성 저혈압 (Chronic Idiopathic Hypotension): 특별한 원인 없이 지속적으로 저혈압이 나타나는 경우.

원인

저혈압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탈수: 체액 부족은 혈액량 감소로 이어져 혈압을 낮출 수 있다.
  • 심장 질환: 심부전, 심장 판막 질환 등은 심장의 혈액 펌프 기능을 저하시켜 혈압을 낮출 수 있다.
  • 내분비 질환: 갑상선 기능 저하증, 부신 기능 부전 등은 혈압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신경계 질환: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증 등은 자율 신경계 기능 장애를 일으켜 혈압을 낮출 수 있다.
  • 약물: 이뇨제, 혈압 강하제, 항우울제, 특정 진통제 등은 혈압을 낮추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 임신: 임신 중에는 혈관이 확장되어 혈압이 일시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 영양 결핍: 비타민 B12, 엽산 부족 등은 빈혈을 유발하여 혈압을 낮출 수 있다.
  • 심한 출혈: 외상이나 수술로 인한 심한 출혈은 혈액량 감소로 이어져 혈압을 낮출 수 있다.
  • 패혈증: 심각한 감염으로 인한 패혈증은 혈압을 급격히 떨어뜨릴 수 있다.

진단

저혈압은 혈압 측정 및 병력 청취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기립경 검사, 심전도 검사, 혈액 검사, 소변 검사 등을 시행하여 원인을 감별할 수 있다.

치료

저혈압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 생활 습관 개선: 충분한 수분 섭취, 규칙적인 식사, 적절한 염분 섭취, 천천히 일어나는 습관 등이 도움이 될 수 있다.
  • 약물 치료: 심한 경우 혈압 상승제, 스테로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 원인 질환 치료: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해당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방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생활 습관, 충분한 수분 섭취, 균형 잡힌 식단, 적절한 운동 등이 중요하다. 특히, 고령자나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혈압을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