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0,351건

저혈량증

저혈량증 (Hypovolemia)은 순환 혈액량, 즉 혈관 내에 존재하는 혈액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감소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신체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데 필요한 혈액량이 부족해져 다양한 생리적 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저혈량증은 탈수와는 구별되어야 하는데, 탈수는 체내 수분 부족을 의미하며, 저혈량증은 혈액, 특히 혈장의 감소를 지칭합니다.

원인:

저혈량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출혈: 외상, 수술, 위장관 출혈, 혈액 응고 장애 등으로 인한 혈액 손실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 체액 손실: 구토, 설사, 과도한 발한, 이뇨제 사용, 화상 등으로 인해 체액이 과도하게 손실될 수 있습니다.
  • 수분 섭취 부족: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지 못하거나, 갈증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체액 이동: 혈관에서 조직으로 체액이 이동하는 경우 (예: 심한 염증, 알부민 부족) 혈액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증상:

저혈량증의 증상은 혈액량 감소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갈증
  • 구강 건조
  • 피로감
  • 어지러움
  • 기립성 저혈압 (앉았다 일어설 때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
  • 소변량 감소

심한 저혈량증의 경우 다음과 같은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빠르고 약한 맥박
  • 빠른 호흡
  • 창백하고 차가운 피부
  • 혼란
  • 의식 저하
  • 쇼크

진단:

저혈량증은 환자의 증상, 병력, 신체 검진을 통해 의심할 수 있습니다. 다음 검사를 통해 진단을 확정하고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혈액 검사: 혈색소, 헤마토크리트 수치 확인, 전해질 불균형 확인, 혈액 응고 검사
  • 소변 검사: 소변량, 소변 농도 확인
  • 혈압 측정: 기립성 저혈압 확인
  • 중심정맥압 측정: 혈관 내 혈액량 간접 측정

치료:

저혈량증의 치료는 원인과 심각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요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액 보충: 정맥 주사를 통해 생리식염수, 링거액 등의 수액을 공급하여 혈액량을 늘립니다.
  • 출혈 조절: 출혈이 원인인 경우, 지혈, 수술 등을 통해 출혈을 멈춰야 합니다.
  • 원인 질환 치료: 구토, 설사, 당뇨병 등 저혈량증을 유발하는 원인 질환을 치료합니다.
  • 수혈: 심한 출혈로 인해 혈액 손실이 큰 경우 수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방:

저혈량증은 적절한 수분 섭취, 출혈 예방, 기저 질환 관리 등을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구토, 설사 등으로 체액 손실이 많은 경우에는 충분한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