잿빛곰팡이균
잿빛곰팡이균 (Botrytis cinerea)은 광범위한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자낭균류의 일종이다. 특히 과일, 채소, 화훼 등 다양한 작물에 큰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중요한 식물 병원균으로 알려져 있다. 잿빛곰팡이병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특히 습하고 서늘한 환경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특징
- 형태: 잿빛곰팡이균은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분생포자경이라 불리는 가지가 있는 구조 위에 회색 또는 갈색의 분생포자를 다수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분생포자는 바람, 물, 곤충 등을 통해 쉽게 퍼져나가 새로운 식물체를 감염시킨다. 균사 역시 회색빛을 띠며, 감염된 식물 조직 표면에 솜털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 생리: 잿빛곰팡이균은 다양한 생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여러 환경 조건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저온에서도 생장이 가능하며, 다양한 탄소원과 질소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균핵이라 불리는 휴면 구조를 형성하여 불리한 환경 조건에서도 장기간 생존할 수 있다.
- 병원성: 잿빛곰팡이균은 식물 세포벽을 분해하는 효소를 분비하여 식물 조직을 침투하고 파괴한다. 감염된 식물 부위는 부패하고, 회색빛의 곰팡이가 덮여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감염 및 증상
잿빛곰팡이균은 주로 상처나 노화된 조직을 통해 식물체에 침입한다. 잎, 줄기, 꽃, 과일 등 식물의 모든 부위에 감염될 수 있으며, 감염 부위는 물러지고 썩어 들어가며, 특징적으로 회색의 곰팡이 층이 형성된다. 딸기, 토마토, 포도, 상추, 백합 등 다양한 작물에서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며, 수확량 감소 및 품질 저하를 유발한다.
방제
잿빛곰팡이병의 방제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된다.
- 재배적 방제: 통풍이 잘 되도록 하고, 밀식을 피하며, 감염된 식물체는 즉시 제거하여 전염원을 줄인다.
- 화학적 방제: 등록된 살균제를 사용하여 잿빛곰팡이균의 생장을 억제한다. 살균제 저항성 발달을 늦추기 위해 작용 기작이 다른 약제를 교대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생물학적 방제: 천적 미생물 또는 길항 미생물을 이용하여 잿빛곰팡이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연구
잿빛곰팡이균은 식물 병리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대상이다. 잿빛곰팡이균의 병원성 기작, 저항성 기작, 방제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보다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인 방제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