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916건

자막

자막은 영상 매체(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비디오 게임 등)에서 대사, 내레이션, 또는 기타 오디오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막은 시청각 자료의 접근성을 높이고, 언어 장벽을 극복하며, 콘텐츠의 이해도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기능 및 목적

  • 청각 장애인 지원: 청각 장애가 있는 시청자가 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경우, 대사뿐만 아니라 음향 효과, 배경 음악 등 중요한 소리 정보도 텍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폐쇄 자막(Closed Captioning)은 이 목적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기술이다.
  • 언어 장벽 해소: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시청자가 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된 텍스트를 제공한다. 외국 영화를 시청할 때 흔히 볼 수 있다.
  • 이해도 향상: 복잡한 전문 용어나 방언, 또는 소음으로 인해 듣기 어려운 대사를 자막을 통해 명확하게 전달하여 내용 이해도를 높인다.
  • 학습 지원: 외국어 학습자가 원어 콘텐츠를 시청하며 언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돕는다.

종류

  • 개방 자막 (Open Captions): 영상에 영구적으로 삽입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끄거나 켤 수 없는 자막이다.
  • 폐쇄 자막 (Closed Captions): 사용자가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설정을 통해 끄거나 켤 수 있는 자막이다. 북미 지역에서는 청각 장애인 접근성을 위해 의무적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Subtitles for the Deaf and Hard of Hearing, SDH): 대사뿐만 아니라 화자 식별, 음향 효과, 배경 음악 등 소리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하여 청각 장애인이 콘텐츠를 더욱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번역 자막 (Translation Subtitles): 원어 콘텐츠의 대사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자막이다.

기술적 측면

자막은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 자막 제작 프로그램, 또는 스트리밍 플랫폼 자체의 기능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자막 파일 포맷으로는 .srt, .ssa, .ass 등이 널리 사용된다. 자막 제작 시에는 싱크(대사와 자막의 일치), 가독성(글꼴, 크기, 색상, 위치 등), 적절한 번역 등을 고려해야 한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자막을 생성하는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