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 이중층
지질 이중층 (脂質二重層, Lipid bilayer)은 세포막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루는 얇은 극성 막이다. 주로 인지질, 콜레스테롤, 당지질과 같은 양친매성 지질 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분자들이 물 환경에서 자발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지질 이중층에서 인지질 분자는 소수성 꼬리(hydrophobic tail) 부분이 안쪽으로 향하고, 친수성 머리(hydrophilic head) 부분이 바깥쪽으로 향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배열은 물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열역학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소수성 꼬리는 주로 탄화수소 사슬로 구성되어 있어, 물과 상호작용을 회피하고 서로 간의 반데르발스 힘에 의해 결합한다. 친수성 머리는 인산 그룹을 포함하고 있어 물과 수소 결합을 형성하며, 막의 바깥쪽 표면을 구성한다.
지질 이중층은 유동적인 막(fluid mosaic) 모델로 설명되는데, 이는 지질 분자들이 막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동성은 막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막 단백질의 이동과 분포, 막 융합, 세포 신호 전달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지질 이중층은 세포의 내부 환경과 외부 환경을 분리하는 장벽 역할을 하며, 이온, 당, 아미노산과 같은 극성 분자의 자유로운 이동을 막는다. 그러나 특정 막 단백질(채널, 수송체 등)을 통해 선택적으로 물질을 수송함으로써 세포의 생존과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지질 이중층의 구성 성분과 구조는 세포의 종류와 기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막의 유동성, 투과성, 그리고 막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