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7건

항구토제

항구토제 (Anti-emetic agents)는 구토와 구역질을 억제하거나 완화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 또는 치료법을 의미한다. 구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멀미, 임신, 약물 부작용, 감염, 위장 질환, 항암 치료 등이 대표적이다. 항구토제는 이러한 원인으로 인한 구토 증상을 관리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작용 기전

항구토제의 작용 기전은 매우 다양하며, 구토를 유발하는 신경 경로의 여러 지점에서 작용한다. 주요 작용 기전은 다음과 같다.

  • 세로토닌(5-HT3) 수용체 길항제: 위장관에서 분비되는 세로토닌이 구토 중추를 자극하는 것을 막아 구토를 억제한다. 특히 항암 치료로 인한 구토 예방에 효과적이다.
  •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 뇌의 화학수용체 발동대(CTZ)에서 도파민 수용체의 작용을 억제하여 구토를 막는다.
  • 신경키닌-1(NK1) 수용체 길항제: 뇌의 구토 중추에서 신경키닌-1 수용체의 작용을 억제하여 구토를 억제한다.
  • 항히스타민제: 히스타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멀미로 인한 구토를 억제한다.
  • 항콜린제: 부교감 신경의 작용을 억제하여 위장관 운동을 감소시키고 구토를 억제한다.
  • 칸나비노이드: 뇌의 구토 중추에 작용하여 구토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종류

항구토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대표적인 약물은 다음과 같다.

  • 5-HT3 수용체 길항제: 온단세트론, 그라니세트론, 돌라세트론, 팔로노세트론
  •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 메토클로프라마이드, 프로클로르페라진, 할로페리돌
  • NK1 수용체 길항제: 아프레피탄트, 포사프레피탄트, 롤라피탄트
  • 항히스타민제: 디멘히드리네이트, 메클리진
  • 항콜린제: 스코폴라민
  • 칸나비노이드: 드로나비놀, 나빌론

투여 경로 및 방법

항구토제는 경구, 주사, 좌약, 경피 패치 등 다양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환자의 상태, 구토의 정도, 약물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부작용

항구토제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약물이지만, 일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흔한 부작용으로는 졸음, 변비, 설사, 두통, 어지럼증 등이 있다. 드물게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하여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의사항

항구토제를 복용하기 전에 의사 또는 약사에게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알려야 한다.

  • 임신 또는 수유 중인 경우
  • 다른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
  • 특정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참고 문헌

  • UpToDate: Antiemetic agents for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 National Cancer Institute: Nausea and Vomi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