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3,263건

이구아노돈과

이구아노돈과 (Iguanodontidae)는 조반목 조각류에 속하는 공룡의 한 과이다. 쥐라기 후기부터 백악기 후기까지 번성했으며, 주로 유럽, 북아메리카, 아시아에서 화석이 발견된다. 이구아노돈과는 비교적 큰 몸집에 튼튼한 뒷다리를 가진 초식 공룡으로, 앞다리는 짧고 유연하여 먹이를 잡거나 몸을 지탱하는 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징

  • 치아: 이구아노돈과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이들의 치아 구조이다. 이들은 뺨 쪽에 줄지어 늘어선, 잎 모양의 이빨을 가지고 있어 식물을 씹어 먹기에 적합했다. 이러한 치아 구조는 다른 조각류 공룡들과도 공유하는 특징이다.
  • 손가락 가시: 이구아노돈과의 일부 종, 특히 이구아노돈 자체는 엄지손가락에 크고 뾰족한 가시를 가지고 있었다. 이 가시의 용도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방어나 먹이를 긁어 모으는 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진화: 이구아노돈과는 다양한 종을 포함하며, 이들은 진화 과정에서 더욱 정교한 턱 구조와 치아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진화는 그들이 다양한 식물을 효율적으로 먹을 수 있도록 도왔을 것이다.
  • 다양성: 이구아노돈과는 여러 속과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크기, 형태, 분포는 다양하다. 대표적인 속으로는 이구아노돈 (Iguanodon), 만텔리사우루스 (Mantellisaurus) 등이 있다.

분류

이구아노돈과는 이구아노돈티아 (Iguanodontia)라는 더 큰 분류군에 속하며, 이들은 다시 조각류 (Ornithopoda)에 속한다. 이구아노돈티아는 캄프토사우루스과 (Camptosauridae)와 같은 다른 공룡 과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이구아노돈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생물학적 의미

이구아노돈과는 백악기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초식 동물로서 식물 군집의 구성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다른 육식 공룡들의 먹이 사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이구아노돈과의 화석은 당시의 고생태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