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7,566건

유선염

유선염 (乳腺炎, mastitis)은 유방 조직의 염증을 의미하며, 주로 수유 중인 여성에게서 발생하지만, 드물게 비수유 여성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개요

유선염은 젖의 정체, 세균 감염, 유두 손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염증은 유방의 통증, 발적, 부종, 열감 등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 고름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농양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원인

  • 젖의 정체: 수유 빈도가 낮거나, 아기가 젖을 제대로 빨지 못하거나, 유관이 막힌 경우 젖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고 유방 내에 정체되어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세균 감염: 아기의 구강이나 피부에 있는 세균이 유두의 상처를 통해 유방 조직으로 침투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흔한 원인균으로는 황색 포도상구균이 있습니다.
  • 유두 손상: 유두에 상처, 갈라짐, 습진 등이 있는 경우 세균 감염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 기타: 꽉 끼는 브래지어 착용, 스트레스, 면역력 저하 등도 유선염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증상

  • 유방의 통증 및 압통
  • 유방의 발적, 부종, 열감
  • 유두의 통증 또는 갈라짐
  • 전신 발열, 오한, 근육통
  • 피로감

진단

유선염은 주로 환자의 증상과 신체 검진을 통해 진단됩니다. 필요한 경우 유방 초음파 검사를 통해 농양 형성 여부를 확인하거나, 유즙 배양 검사를 통해 원인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치료

  • 수유 지속: 유선염이 있는 경우에도 수유를 중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유를 통해 젖을 비워주는 것이 염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아기가 젖을 빨기 어려워하는 경우 유축기를 사용하여 젖을 짜낼 수 있습니다.
  • 온찜질 및 마사지: 유방에 온찜질을 하거나 부드럽게 마사지하여 젖의 배출을 돕습니다.
  • 진통제: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 항생제: 세균 감염이 확인된 경우 항생제를 복용합니다.
  • 농양 배농: 농양이 형성된 경우 외과적으로 배농해야 합니다.

예방

  • 정기적인 수유: 젖이 정체되지 않도록 규칙적으로 수유합니다.
  • 올바른 수유 자세: 아기가 젖을 제대로 빨 수 있도록 올바른 수유 자세를 취합니다.
  • 유두 관리: 유두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고, 상처가 생긴 경우 청결하게 관리합니다.
  • 적절한 휴식 및 스트레스 관리: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합니다.
  • 브래지어 선택: 꽉 끼는 브래지어 대신 편안한 브래지어를 착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