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질
유리질(琉璃質)은 광물이나 암석의 조직을 설명하는 용어 중 하나로, 결정 구조가 없는 비정질의 물질을 의미한다. 이는 액체 상태의 물질이 급격하게 냉각될 때 원자들이 규칙적인 배열을 이루지 못하고 고체화되어 나타나는 특징이다. 화산암에서 흔히 관찰되며, 특히 흑요석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유리질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외관을 가지며, 빛을 산란시키지 않고 통과시키는 성질을 가진다. 또한, 깨질 때 특정한 방향 없이 불규칙하게 깨지는 단구(conchoidal fracture)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유리질 물질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높은 온도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성질을 유지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고대부터 장식품, 도구, 건축 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다.
화산 활동으로 생성된 유리질 암석은 지구 내부의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분출되어 급격하게 냉각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이때 마그마의 성분, 냉각 속도, 주변 환경 등이 유리질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