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765건

우심실

우심실(右心室, Right ventricle)은 심장의 네 개의 방 중 하나로, 폐순환의 시작점을 담당하는 중요한 구조입니다. 심장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우심방으로부터 삼첨판을 통해 혈액을 받아 폐동맥을 통해 폐로 펌프질하는 역할을 합니다. 폐로 보내진 혈액은 폐포에서 산소를 공급받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여 산소가 풍부한 혈액으로 변환됩니다.

구조

우심실은 좌심실에 비해 벽이 얇고 압력이 낮습니다. 이는 우심실이 폐로 혈액을 펌프질하는 데 필요한 압력이 전신 순환에 필요한 압력보다 낮기 때문입니다. 내부에는 다양한 근육 기둥인 육주(trabeculae carneae)가 존재하며, 이들은 혈액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혈액 응고를 방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우심실에는 삼첨판과 폐동맥판이 연결되어 있어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기능

우심실의 주요 기능은 전신에서 돌아온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폐로 펌프질하는 것입니다. 우심방으로부터 혈액을 받아 수축하면서 폐동맥을 통해 폐로 혈액을 보냅니다. 이 과정은 폐순환의 핵심적인 부분이며, 신체 각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임상적 중요성

우심실의 기능 부전은 다양한 심장 질환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폐고혈압, 폐색전증, 우심실 경색 등은 우심실에 과도한 부담을 주어 우심실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선천성 심장 질환이나 판막 질환 역시 우심실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우심실 기능 부전은 전신 부종, 호흡 곤란, 피로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진단은 심초음파, 심장 MRI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원인 질환에 따라 약물 치료, 수술적 치료 등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