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포
용포(龍袍)는 조선시대와 대한제국 시대에 왕 또는 황제가 평상시에 집무복으로 입던 옷이다. 곤룡포(袞龍袍)라고도 불린다.
개요
용포는 임금의 권위를 상징하는 옷으로, 붉은색 바탕에 금색 용 무늬를 수놓은 것이 특징이다. 용포의 색깔은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였으나, 주로 붉은색이 사용되었다. 용포에는 왕을 상징하는 용의 문양이 가슴, 등, 양 어깨에 수놓아져 있으며, 용의 발톱 수는 왕의 위엄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였다. 조선 초기에는 5조룡을 사용했으나, 이후 명나라의 눈치를 보아 4조룡을 사용하기도 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황제의 용포에 5조룡을 사용하며 황제국의 위상을 드러냈다.
구성
용포는 겉옷인 포(袍)와 함께 익선관(翼善冠), 옥대(玉帶), 목화(木靴) 등으로 구성된다. 익선관은 임금이 평상시에 쓰던 관모이며, 옥대는 허리에 두르는 띠이다. 목화는 나무로 만든 신발이다.
변천
조선 시대 용포는 초기에는 중국의 제도를 따라 붉은색을 사용하였으나, 이후 청색, 흑색 등 다양한 색깔의 용포가 등장하기도 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황제의 용포를 황색으로 규정하여 황제국의 위상을 더욱 강조하였다. 용포의 문양 또한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였으며, 용의 형상이나 수의 변화를 통해 왕의 권위를 상징적으로 드러내었다.
참고 문헌
- 《조선왕조실록》
- 《대한제국 법전》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유물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