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병
심장병 (心臟病, heart disease)은 심장에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 심장 자체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뿐만 아니라 심장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질환까지 포함한다. 다양한 원인과 병태생리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며, 증상과 심각도 또한 질환에 따라 크게 다르다.
분류 및 원인
심장병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관상동맥 질환 (Coronary Artery Disease, CAD):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발생하는 질환으로, 협심증과 심근경색이 대표적이다. 주된 원인은 동맥경화이다.
- 심부전 (Heart Failure): 심장이 신체에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관상동맥 질환, 고혈압, 심근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부정맥 (Arrhythmia): 심장의 전기적 신호 체계에 이상이 생겨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는 질환이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심방세동, 심실빈맥 등이 대표적이다.
- 심장 판막 질환 (Valvular Heart Disease): 심장 내 혈액 흐름을 조절하는 판막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이다. 감염, 노화, 선천적 기형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선천성 심장 질환 (Congenital Heart Disease): 태어날 때부터 심장의 구조적 이상을 가지고 있는 질환이다.
- 심근병증 (Cardiomyopathy): 심장 근육 자체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이다. 비대성 심근병증, 확장성 심근병증 등이 있다.
- 심낭 질환 (Pericardial Disease):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심낭에 염증이 생기거나 액체가 과도하게 고이는 질환이다.
심장병의 원인은 다양하며, 유전적 요인, 생활 습관 (흡연, 고지방 식단, 운동 부족),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스트레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증상
심장병의 증상은 질환의 종류와 심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가슴 통증 (협심증)
- 호흡 곤란
- 피로감
- 부종 (특히 다리와 발목)
- 불규칙한 심장 박동 (두근거림)
- 현기증 또는 실신
진단 및 치료
심장병의 진단에는 심전도, 흉부 X-레이, 심장 초음파, 관상동맥 CT, 심장 MRI, 혈액 검사 등 다양한 검사가 사용된다.
치료 방법은 질환의 종류와 심각도에 따라 약물 치료, 생활 습관 개선, 시술 (풍선 확장술, 스텐트 삽입술), 수술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술, 판막 치환술) 등이 있다.
예방
심장병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금연
- 건강한 식단 (저지방, 저염)
- 규칙적인 운동
- 적정 체중 유지
- 스트레스 관리
-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위험 요인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