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얼 모드 차량
듀얼 모드 차량 (Dual Mode Vehicle)은 도로 및 철도와 같이 두 가지 이상의 다른 유형의 도로 또는 경로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차량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량은 일반적으로 도로에서는 버스 또는 트럭과 유사한 형태로 운행되다가 철도 구간에 진입하면 철도 차량으로 전환되어 운행할 수 있다.
듀얼 모드 차량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다양한 주행 환경: 도로 주행과 철도 주행을 모두 지원하여 교통 체증을 피하거나, 기존 철도망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수송을 가능하게 한다.
- 유연성 및 접근성: 도로를 통해 승객 또는 화물을 수송한 후, 철도로 직접 연결하여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할 수 있어 물류 및 대중 교통 시스템의 유연성을 높인다.
- 기술적 복잡성: 도로 및 철도 주행에 필요한 다양한 시스템 (예: 타이어, 철도 바퀴, 변환 메커니즘, 제어 시스템)을 통합해야 하므로 기술적으로 복잡하며, 개발 및 유지 보수 비용이 높을 수 있다.
듀얼 모드 차량은 도시 간 교통, 공항 연결, 물류 운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교통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 오염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초기 투자 비용, 인프라 구축, 안전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존재한다. 듀얼 모드 차량의 예로는 듀얼 모드 버스(DMV)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