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성암
심성암 (深成岩, Plutonic rock) 은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서서히 식어 굳어져 형성된 화성암의 일종이다. 화산암(Volcanic rock)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심성암은 지하 깊은 곳에서 오랜 시간 동안 냉각되면서 비교적 큰 광물 결정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는다. 따라서 심성암은 일반적으로 눈으로 식별 가능한 크기의 조립질(粗粒質) 조직을 보인다.
특징
- 조직: 현정질(顯晶質) 조직 또는 완정질(完晶質) 조직을 나타낸다. 이는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 입자들이 눈으로 식별 가능할 정도로 크다는 의미이다.
- 광물: 석영, 장석, 흑운모, 각섬석, 휘석 등 다양한 규산염 광물을 포함할 수 있다. 광물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심성암의 종류가 결정된다.
- 색: 광물의 조성에 따라 밝은 색(예: 화강암)부터 어두운 색(예: 섬록암, 반려암)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 산출: 주로 대규모 관입암체(貫入岩體, Pluton) 형태로 산출되며, 바솔트(Batholith)나 스톡(Stock)과 같은 지형을 형성하기도 한다.
분류
심성암은 광물의 종류와 함량 비율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주요 심성암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화강암 (Granite): 석영, 장석, 운모를 주성분으로 하는 밝은 색의 심성암이다. 대륙 지각의 주요 구성 성분이다.
- 섬록암 (Diorite): 사장석과 각섬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간 색의 심성암이다.
- 반려암 (Gabbro): 휘석과 사장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어두운 색의 심성암이다. 해양 지각의 주요 구성 성분이다.
- 섬장암 (Syenite): 정장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심성암이다. 석영이 거의 없거나 소량 포함되어 있다.
- 페리도타이트 (Peridotite): 감람석과 휘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매우 어두운 색의 심성암이다. 맨틀의 주요 구성 성분이다.
활용
심성암은 건축 자재, 석재, 조각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특히 화강암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아름다운 외관을 가지고 있어 건축물의 외장재나 기념비 등에 많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