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박동기
심박동기 (心搏動器, Pacemaker)는 인공적으로 심장의 박동을 조절하여 심박수가 너무 느리거나 불규칙한 사람들에게 정상적인 심장 기능을 유지하도록 돕는 의료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적 자극을 심장 근육에 전달하여 심장이 규칙적으로 수축하도록 유도한다.
작동 원리
심박동기는 크게 맥박 발생기와 리드로 구성된다.
-
맥박 발생기 (Pulse Generator): 배터리와 전자 회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프로그래밍된 대로 전기적 자극을 생성한다. 과거에는 주로 배터리 수명이 제한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수명이 크게 향상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
리드 (Lead): 맥박 발생기에서 생성된 전기적 자극을 심장으로 전달하는 전선이다. 리드는 정맥을 통해 심장 내부에 삽입되며, 심장 근육과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 자극을 전달한다.
심박동기는 환자의 심장 리듬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심박수가 미리 설정된 최소 심박수 이하로 떨어지거나 불규칙한 리듬이 감지되면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켜 심장 박동을 정상화한다. 필요에 따라 심방과 심실을 각각 자극하거나, 동시에 자극하여 심장의 효율적인 수축을 돕는다.
종류
심박동기는 자극하는 심장 부위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
단일 챔버 심박동기 (Single-Chamber Pacemaker): 심방 또는 심실 중 한 곳에만 리드를 연결하여 자극한다.
-
이중 챔버 심박동기 (Dual-Chamber Pacemaker): 심방과 심실 모두에 리드를 연결하여, 심방과 심실의 수축을 동기화시켜 심장의 효율성을 높인다.
-
심장 재동기화 치료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CRT): 심부전 환자에게 사용되는 특수한 형태의 심박동기로, 좌심실과 우심실의 수축을 동기화시켜 심장의 펌프 기능을 개선한다.
-
무선 심박동기 (Leadless Pacemaker): 기존의 심박동기와 달리 리드가 없는 형태로, 캡슐 형태로 작고 직접 심장 내부에 삽입된다.
삽입 과정
심박동기 삽입은 비교적 간단한 수술로 진행되며, 국소 마취 하에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쇄골 아래 부위를 절개하여 맥박 발생기를 삽입할 공간을 만들고, 리드를 정맥을 통해 심장 내부로 삽입한다. 리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고정한 후, 맥박 발생기와 연결하고 절개 부위를 봉합한다.
주의 사항
심박동기를 삽입한 환자는 자기공명영상 (MRI) 검사, 일부 전기 수술 장비, 강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기기에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또한, 휴대폰을 심박동기 삽입 부위 가까이에 두는 것을 자제해야 하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심박동기의 작동 상태와 배터리 잔량을 확인해야 한다.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