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480건

실사구시

실사구시는 조선 후기, 특히 영조와 정조 시대를 거치면서 하나의 학문적, 사상적 경향으로 자리 잡은 용어이다. '사실에 근거하여 진리를 탐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기존의 명분론과 공리공론에 치우쳤던 성리학적 학풍을 비판하고, 실제적인 학문과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지식을 추구하려는 움직임의 핵심 이념이었다.

어원 및 의미:

  • 實 (실): 사실, 실제, 진실
  • 事 (사): 일, 사건, 현상
  • 求 (구): 구하다, 탐구하다, 찾다
  • 是 (시): 옳다, 진리, 올바름

따라서 실사구시는 단순히 '사실을 중시한다'는 피상적인 의미를 넘어, 구체적인 사실과 현상에 대한 객관적인 관찰과 분석을 통해 보편적인 진리에 도달하려는 적극적인 학문 태도를 의미한다.

등장 배경:

조선 후기 사회는 당쟁의 격화, 사회 경제적 모순 심화, 서양 문물의 유입 등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존의 성리학적 이념만으로는 현실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되었고,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학문과 기술을 강조하는 실학 사상이 대두되었다. 실사구시는 이러한 실학 사상의 중요한 방법론적 기반이 되었다.

주요 내용 및 특징:

  • 경세치용 (經世致用):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이롭게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 이용후생 (利用厚生): 백성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하고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을 중시했다.
  • 고증학 (考證學): 역사적 사실이나 문헌에 대한 철저한 고증을 통해 객관적인 지식을 확보하려 했다.
  • 폐단 개혁: 사회 경제적 폐단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했다.

영향 및 의의:

실사구시는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학자들은 농업, 상업, 과학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으며, 사회 개혁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제안했다. 또한, 실사구시적 학풍은 조선 후기 학문 연구의 폭을 넓히고, 근대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적인 학자:

  • 유형원
  • 이익
  • 정약용
  • 박지원
  • 박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