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축
압축은 크기를 줄이는 과정을 의미한다.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방법과 목적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크기를 줄여 저장 공간을 절약하거나 전송 속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압축 기법이 존재한다.
데이터 압축 기법은 크게 손실 압축과 손실 없는 압축으로 나뉜다.
-
손실 없는 압축 (Lossless Compression): 원본 데이터를 완벽하게 복원할 수 있는 압축 방식이다. 데이터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변형하지 않고, 데이터의 중복성이나 패턴을 이용하여 크기를 줄인다. 텍스트 파일, 프로그램 코드, 이미지 파일(일부) 등의 압축에 사용된다.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는 ZIP, gzip, 7z, FLAC 등이 있다.
-
손실 압축 (Lossy Compression): 원본 데이터를 완벽하게 복원할 수 없는 압축 방식이다. 데이터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변형하여 크기를 줄이기 때문에 원본과 비교하여 정보 손실이 발생한다. 하지만 손실 없는 압축보다 훨씬 높은 압축률을 얻을 수 있다. 주로 이미지(JPEG, JPG), 오디오(MP3), 비디오(MPEG) 등의 압축에 사용된다. 인간의 감각으로 인지하기 어려운 부분을 제거하여 압축하기 때문에, 화질이나 음질의 저하가 크게 눈에 띄지 않도록 설계된다.
압축의 활용 분야:
- 컴퓨터 과학: 파일 저장 공간 절약, 네트워크 전송 속도 향상
- 통신: 데이터 전송 효율 증대
- 데이터베이스: 저장 공간 절약, 쿼리 속도 향상
- 이미지 처리: 이미지 파일 크기 축소
- 오디오/비디오 처리: 파일 크기 축소, 스트리밍 효율 향상
관련 용어:
- 압축률: 원본 데이터 크기 대비 압축 후 데이터 크기의 비율
- 압축 알고리즘: 압축 및 압축 해제에 사용되는 방법
- 압축 파일: 압축된 데이터를 담고 있는 파일
본 설명은 일반적인 압축에 대한 개념을 설명한 것이며, 특정 알고리즘이나 기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각각의 항목을 참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