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7,523건

식염

식염 (食鹽, edible salt)은 사람이 섭취할 수 있도록 가공된 소금으로, 염화나트륨(NaCl)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미료이자 필수 영양소이다. 식품의 맛을 내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식품의 보존성을 높이고, 인체의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요

식염은 고대부터 사용되어 온 조미료로, 인류 문명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과거에는 귀한 물품으로 여겨져 화폐처럼 사용되기도 했으며, 소금길(Salt Road)과 같은 무역로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현대에는 대량 생산 기술의 발달로 비교적 저렴하게 구할 수 있지만, 여전히 다양한 종류와 품질의 식염이 존재한다.

종류

식염은 생산 방식, 정제 정도, 첨가 성분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 천일염: 바닷물을 염전에서 햇볕과 바람으로 증발시켜 만든 소금이다. 미네랄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김치를 담그거나 장을 만들 때 주로 사용된다.
  • 정제염: 천일염을 녹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재결정화하여 만든 소금이다. 순도가 높고 쓴맛이 적어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 재제염: 수입된 소금을 녹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다시 가공한 소금이다.
  • 가공염: 천일염이나 정제염에 다른 성분을 첨가하여 만든 소금이다. 예를 들어, 허브를 첨가한 허브솔트, 구운 소금 등이 있다.
  • 꽃소금: 천일염을 물에 녹여 끓인 후 결정화시킨 소금으로, 결정 모양이 꽃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용도

식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조미료: 음식의 맛을 내는 가장 기본적인 조미료이다.
  • 식품 보존: 식품의 수분 활성도를 낮춰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식품을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염장: 생선, 육류 등을 소금에 절여 보존하는 방법이다.
  • 의약품: 생리식염수와 같이 의료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산업용: 화학 공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원료로 사용된다.

건강 관련

식염은 인체의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고 신경 기능을 조절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지만, 과다 섭취할 경우 고혈압, 심혈관 질환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하루 소금 섭취량을 5g 미만으로 권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