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514건

시신경

시신경 (視神經, optic nerve)은 눈에서 뇌로 시각 정보를 전달하는 뇌신경의 하나이다. 12쌍의 뇌신경 중 두 번째 신경(제2뇌신경)에 해당하며, 감각 신경에 속한다. 각 눈에서 나온 시신경은 뇌 속에서 시신경 교차를 통해 일부 교차하며, 이후 시각 피질로 연결되어 시각 정보를 처리하게 된다.

구조

시신경은 망막의 신경절 세포에서 시작하여, 시신경 유두(optic disc)를 통해 안구 밖으로 빠져나온다. 시신경 유두는 시신경 섬유가 모이는 곳으로, 혈관이 드나드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 지점에는 시세포가 없어 시야에서 맹점(blind spot)으로 나타난다. 안구를 빠져나온 시신경은 안와(눈구멍)를 지나 시신경관을 통과하여 두개강 내로 들어온다. 두개강 내에서 좌우 시신경은 시신경 교차(optic chiasm)를 이루는데, 여기서 코 쪽에 해당하는 신경 섬유는 반대쪽으로 교차하고, 귀 쪽에 해당하는 신경 섬유는 교차하지 않는다. 시신경 교차 이후의 신경 섬유 다발은 시삭(optic tract)이라고 불리며, 외측 슬상체(lateral geniculate nucleus)를 거쳐 시각 피질(visual cortex)로 전달된다.

기능

시신경의 주요 기능은 망막에서 받아들인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것이다. 망막의 시세포에서 빛 에너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신경절 세포를 통해 이 신호가 시신경을 따라 뇌로 전달된다. 뇌는 시신경을 통해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물의 형태, 색깔, 움직임 등을 인식하게 된다.

손상 및 질환

시신경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력 저하, 시야 결손, 색각 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인 시신경 질환으로는 녹내장, 시신경염, 시신경 위축 등이 있다. 녹내장은 안압 상승 등으로 인해 시신경이 손상되는 질환이며, 시신경염은 시신경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시신경 위축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시신경이 퇴화하는 질환이다. 시신경 손상은 불가역적인 경우가 많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