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090건

식중독

식중독 (食中毒, Food poisoning)은 섭취한 음식물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했을 때 발생하는 위장 질환으로,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식중독은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과 같은 미생물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고, 자연독소(버섯독, 복어독 등), 화학물질, 또는 오염물질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원인

식중독의 원인은 다양하며,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세균: 살모넬라,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 등이 대표적인 식중독 유발 세균이다. 오염된 육류, 가금류, 유제품, 해산물 등을 섭취했을 때 발생하기 쉽다.
  • 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아스트로바이러스 등은 주로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통해 전파되며, 겨울철에 흔하게 발생한다.
  • 자연독소: 복어독(테트로도톡신), 버섯독(아마톡신 등), 조개독(삭시톡신 등) 등은 특정 식물이나 동물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독성 물질이다.
  • 화학물질: 농약, 중금속, 식품첨가물 등이 과량으로 섭취되었을 때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
  • 기생충: 아니사키스, 고래회충 등은 덜 익힌 해산물을 섭취했을 때 감염될 수 있다.

증상

식중독의 증상은 원인균이나 독소의 종류, 섭취량, 개인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소화기 증상: 구토, 설사, 복통, 메스꺼움, 식욕 부진 등
  • 전신 증상: 발열, 오한, 두통, 근육통, 탈수 등
  • 심각한 증상: 신경 마비, 호흡 곤란 (특히 자연독소에 의한 식중독의 경우)

예방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 손 씻기: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꼼꼼히 손을 씻는다. 특히, 음식을 조리하기 전, 식사 전, 화장실 사용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 식재료 보관 및 관리: 식재료는 신선한 것을 구입하고, 적절한 온도에서 보관한다. 특히, 육류, 가금류, 해산물은 다른 식품과 분리하여 보관하고, 충분히 익혀서 섭취한다.
  • 조리 과정 위생: 칼, 도마 등 조리 도구는 용도별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깨끗하게 세척 및 소독한다. 음식은 충분히 가열하여 섭취하고, 남은 음식은 냉장 보관하며 가능한 한 빨리 섭취한다.
  • 안전한 물 섭취: 끓인 물이나 정수된 물을 마신다.
  • 유통기한 확인: 식품 구매 시 유통기한을 확인하고,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섭취하지 않는다.
  • 어패류 섭취 주의: 날 것으로 섭취하는 어패류는 신선도를 확인하고, 가급적 익혀서 섭취한다.

치료

대부분의 식중독은 특별한 치료 없이도 자연적으로 회복되지만, 탈수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한 탈수 증상이 나타나거나, 고열, 혈변, 심한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경우에 따라 수액 요법, 항생제 투여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