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대
구급대는 응급 환자 발생 시 현장에 출동하여 응급 처치를 제공하고, 환자를 의료 기관으로 안전하게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조직 또는 인력을 의미한다. 구급대는 사고, 질병 등으로 인해 생명이 위독하거나 심각한 부상을 입은 환자에게 신속하고 전문적인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한다.
주요 역할 및 기능
- 응급 처치: 심폐소생술(CPR), 기도 확보, 지혈, 상처 드레싱, 골절 부위 고정 등 환자의 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응급 처치를 수행한다.
- 환자 평가 및 분류: 환자의 증상, 활력 징후 등을 신속하게 평가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한다. 중증도에 따라 환자를 분류(Triage)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기도 한다.
- 환자 이송: 환자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의료 기관으로 이송한다. 이송 중에도 지속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응급 처치를 제공한다.
- 구급차 운영 및 관리: 구급차를 운전하고, 차량 내 응급 의료 장비 및 물품을 관리한다.
- 응급 의료 관련 교육 및 훈련: 구급대원은 응급 의료 관련 전문 교육 및 훈련을 이수하며, 정기적인 보수 교육을 통해 전문성을 유지한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 등을 실시하기도 한다.
- 재난 현장 대응: 대형 사고, 재난 발생 시 현장에 출동하여 응급 의료 지원을 제공하고, 환자 이송을 돕는다.
구급대의 종류
- 소방 구급대: 소방서에서 운영하는 구급대로, 화재 현장, 교통사고 현장 등 다양한 재난 현장에서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 병원 구급대: 병원에서 운영하는 구급대로, 병원 내 또는 병원 주변 지역에서 발생하는 응급 환자에게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 보건소 구급대: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구급대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 사설 구급대: 민간 업체에서 운영하는 구급대로, 응급 환자 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관련 법규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참고 자료
- 응급의료포털 E-Gen: [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