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9건

지주막

지주막(蜘蛛膜, arachnoid mater)은 뇌와 척수를 덮고 있는 세 층의 뇌수막 중 가운데 층이다. 경막과 연막 사이에 위치하며, 거미줄 모양의 섬유성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어 '거미막'이라고도 불린다.

개요

지주막은 투명하고 얇은 막으로, 혈관이 거의 분포하지 않는다. 경막과는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어 잠재적인 공간인 경막하강을 형성하며, 연막과는 지주막밑공간(subarachnoid space)이라는 넓은 공간을 통해 분리된다. 이 지주막밑공간에는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이 채워져 있어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주요 뇌혈관들이 이 공간을 통과한다.

구조

지주막은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구조를 갖는다.

  • 지주막융모(arachnoid villi): 지주막의 일부가 경막정맥동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구조로, 뇌척수액을 혈액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 지주막다발(arachnoid trabeculae): 지주막과 연막 사이를 연결하는 섬유성 기둥으로, 지주막밑공간을 가로지르며 뇌와 척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능

지주막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 뇌척수액 순환: 뇌척수액이 지주막밑공간을 통해 순환하며 뇌와 척수에 영양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데 기여한다.
  • 뇌 보호: 뇌척수액과 함께 뇌와 척수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 압력 조절: 뇌척수액의 양을 조절하여 두개강 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임상적 의의

지주막과 관련된 질환은 다음과 같다.

  •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지주막밑공간에 출혈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뇌동맥류 파열로 인해 발생한다.
  • 지주막낭종(arachnoid cyst): 지주막 사이에 뇌척수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형성되는 낭성 종양이다.
  • 뇌수막염(meningitis): 뇌수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지주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