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광석
철광석 (鐵鑛石)은 철을 추출할 수 있는 광물 자원이다. 지구의 지각에서 비교적 풍부하게 발견되며, 다양한 형태와 화학 조성을 가진다. 철광석은 제철 산업의 핵심 원료로서, 철강 생산에 필수적이다.
주요 철광석 종류
-
적철광 (Hematite, Fe₂O₃): 가장 흔한 철광석 중 하나이며, 산화철(III)로 구성되어 있다. 붉은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철 함량이 높아 제철 원료로 널리 사용된다.
-
자철광 (Magnetite, Fe₃O₄): 사산화삼철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한 자성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철 함량이 매우 높으며, 일부 품종은 천연 자석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갈철광 (Limonite, FeO(OH)·nH₂O): 수산화 산화철의 혼합물로, 다양한 수분 함량을 가진다. 늪지대나 습한 환경에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황색 또는 갈색을 띤다.
-
능철광 (Siderite, FeCO₃): 탄산철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색, 갈색, 또는 녹색을 띤다. 다른 철광석에 비해 철 함량이 낮은 편이며, 탄산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채굴 및 가공
철광석은 주로 노천 채굴이나 지하 채굴 방식을 통해 채굴된다. 채굴된 철광석은 분쇄, 선광, 소결 등의 과정을 거쳐 불순물을 제거하고 철 함량을 높이는 가공 과정을 거친다. 가공된 철광석은 고로에 투입되어 철로 환원되며, 이후 제강 과정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철강 제품으로 생산된다.
활용
철광석은 건설, 자동차, 조선, 기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철강 제품의 필수 원료이다. 또한, 건축 자재, 운송 수단, 산업 설비 등 현대 사회의 기반 시설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환경적 영향
철광석 채굴 및 가공 과정은 환경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토지 파괴, 수질 오염, 대기 오염,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채굴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 소음, 진동 등은 주변 지역 주민들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철광석 채굴 및 가공 과정에서는 환경 보호를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