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당뇨 (糖尿病, Diabetes mellitus)는 혈액 속의 포도당, 즉 혈당이 정상보다 높은 상태를 의미하는 만성 대사 질환의 일종이다. 이는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인슐린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여 발생한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액 속의 포도당을 세포 내로 이동시켜 에너지를 생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류
당뇨병은 크게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된다.
-
제1형 당뇨병: 자가면역 반응으로 인해 인슐린을 생산하는 췌장의 베타 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이 전혀 분비되지 않는 상태이다. 주로 소아나 청소년기에 발병하며, 반드시 외부에서 인슐린을 투여해야 생존할 수 있다.
-
제2형 당뇨병: 인슐린 저항성(인슐린에 대한 세포의 반응성 저하)이 있거나 인슐린 분비 능력이 감소하여 발생하는 형태이다. 비만, 운동 부족, 유전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성인에게 흔히 발생한다. 생활 습관 개선, 약물 치료, 인슐린 치료 등을 통해 혈당을 조절할 수 있다.
-
임신성 당뇨병: 임신 중에 처음 발견되는 당뇨병으로, 임신 호르몬의 영향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여 발생한다. 출산 후 대부분 정상 혈당으로 회복되지만, 이후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다.
-
기타 특정 원인에 의한 당뇨병: 유전적 결함, 약물, 질병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당뇨병이다.
증상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다뇨: 혈액 속의 과도한 포도당을 배출하기 위해 소변량이 증가한다.
-
다음: 수분 손실로 인해 갈증을 심하게 느낀다.
-
다식: 세포 내로 포도당이 제대로 흡수되지 못해 에너지 부족을 느껴 식욕이 증가한다.
-
체중 감소: 에너지 부족으로 인해 체내 저장된 지방과 근육이 분해되어 체중이 감소할 수 있다.
-
피로감: 에너지 부족으로 인해 쉽게 피로를 느낀다.
-
시력 저하: 고혈당으로 인해 눈의 수정체에 변화가 생겨 시력이 흐려질 수 있다.
-
상처 치유 지연: 혈액 순환 장애와 면역력 저하로 인해 상처가 잘 낫지 않는다.
진단
혈액 검사를 통해 혈당 수치를 측정하여 당뇨병을 진단한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을 사용한다.
-
공복 혈당: 8시간 이상 금식 후 측정한 혈당이 126mg/dL 이상인 경우
-
경구당부하검사 (OGTT): 75g의 포도당 용액을 마신 후 2시간 뒤 측정한 혈당이 200mg/dL 이상인 경우
-
당화혈색소 (HbA1c): 최근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수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6.5% 이상인 경우
합병증
고혈당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혈관과 신경에 손상을 입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
만성 콩팥병 (신장병): 신장의 여과 기능 저하
-
신경병증: 손, 발의 감각 저하, 통증, 마비 등
-
망막병증: 시력 상실
-
심혈관 질환: 심근경색, 뇌졸중 등
-
족부궤양: 발의 상처가 잘 낫지 않고 심각한 감염으로 진행될 수 있음
치료 및 관리
당뇨병 치료의 목표는 혈당을 정상 범위 내로 유지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다.
-
생활 습관 개선: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 적정 체중 유지, 금연, 절주 등이 중요합니다.
-
약물 치료: 혈당 강하제, 인슐린 주사 등을 사용하여 혈당을 조절합니다.
-
자가 혈당 측정: 혈당 측정기를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혈당을 측정하고 관리합니다.
-
정기적인 검진: 합병증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교육: 당뇨병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습득하고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교육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