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6,573건

스타카티시모

스타카티시모 (이탈리아어: Staccatissimo)는 음악 용어로, 악보에 지시된 음표나 화음을 연주하는 방식에 대한 나타냄말이다. '매우 스타카토로' 또는 '극히 짧고 분리하여' 연주하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이탈리아어 '스타카토'(staccato)에 최상급 접미사 '-issimo'가 붙은 형태로, 일반적인 스타카토보다 훨씬 강한 분리감과 날카로움을 요구한다.

개요 스타카티시모는 음표의 원래 길이보다 극히 짧은 시간 동안만 소리를 내고, 나머지 시간 동안은 소리를 완전히 끊어서 다음 음으로 넘어가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음표 하나하나를 명확하게 분리시키며, 종종 경쾌하거나 또는 찌르는 듯한 강렬하고 날카로운 느낌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연주자는 각 음을 빠르게 끊어내어 타악기적인 효과를 주거나, 악곡에 강한 리듬감과 액센트를 부여할 수 있다.

악보 표기 악보에서는 해당 음표의 머리 위나 아래에 쐐기 모양(▲ 또는 ▼)의 기호로 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기호는 일반적인 스타카토를 나타내는 점(.)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간혹 작은 수직선(|)으로 표기되기도 하지만, 쐐기 기호가 스타카티시모를 가장 명확하게 나타낸다.

연주 방법 스타카티시모는 악기별로 다양한 기술을 통해 구현된다. 피아노에서는 건반을 매우 빠르게 눌렀다가 즉시 손가락을 떼거나 들어 올리며, 현악기에서는 활을 매우 짧고 빠르게 움직여서 현에 충격을 주거나(spiccato에 가깝지만 더 짧게) 현에서 빠르게 떼어낸다(saltando). 관악기에서는 혀를 사용해 음을 매우 짧게 끊어내며 연주한다. 중요한 것은 각 음 사이에 명확하고 긴 휴지를 두어 음표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용법 작곡가는 특정 악절에 강한 액센트와 함께 날카롭고 활기찬 느낌을 부여하거나, 빠른 템포의 악곡에서 각 음의 명확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스타카티시모를 사용한다. 이는 종종 역동적이거나 유머러스하거나 또는 매우 긴장감 있는 음악적 상황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이다.

관련 용어

  • 스타카토 (Staccato): 음표를 원래 길이보다 짧게 끊어서 연주하는 것. 스타카티시모보다 덜 분리된다.
  • 레가토 (Legato): 음표를 부드럽게 이어서 끊어짐 없이 연주하는 것. 스타카티시모와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 테누토 (Tenuto): 음표의 길이를 충분히 유지하며 연주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