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캐닝
스캐닝 (Scanning)은 넓은 의미에서 어떤 대상을 체계적으로 훑어보며 정보를 획득하는 행위를 지칭한다.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맥락에 따라 그 의미와 방법이 달라진다.
개요
스캐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체계성: 무작위적인 탐색이 아닌,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절차나 규칙에 따라 수행된다.
- 정보 획득: 스캐닝의 주된 목적은 대상으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획득된 정보는 분석, 저장, 활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다양한 대상: 스캐닝의 대상은 물리적인 객체, 문서,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 등 매우 다양하다.
분야별 스캐닝
- 컴퓨터 과학:
- 네트워크 스캐닝: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의 정보(IP 주소, 포트 상태, 운영체제 종류 등)를 파악하는 과정. 보안 취약점을 찾거나 네트워크 관리 목적으로 사용된다.
- 취약점 스캐닝: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의 알려진 취약점을 자동으로 탐지하는 과정. 보안 강화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 악성코드 스캐닝: 파일이나 시스템을 검사하여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과정. 백신 프로그램의 핵심 기능이다.
- 문서 스캐닝: 종이 문서나 사진 등을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 스캐너를 사용하여 수행하며, 문서 보관, 검색, 편집 등을 용이하게 한다.
- 의학:
- CT 스캔 (컴퓨터 단층 촬영): X선을 사용하여 인체의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진단 기술. 뼈, 장기, 혈관 등의 이상을 발견하는 데 사용된다.
- MRI (자기 공명 영상): 강력한 자기장과 고주파를 사용하여 인체의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진단 기술. CT 스캔보다 연조직의 구분이 뛰어나다.
- 지리학:
- 위성 스캐닝: 위성에 탑재된 센서를 이용하여 지구 표면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기상 관측, 자원 탐사, 환경 감시 등에 사용된다.
- 유통/물류:
- 바코드 스캐닝: 바코드를 읽어 제품 정보를 빠르게 입력하는 과정. 재고 관리, 판매 관리 등에 사용된다.
주의사항
스캐닝은 때로는 불법적인 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한 없이 다른 사람의 네트워크를 스캐닝하는 것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위반될 수 있다. 따라서 스캐닝을 수행하기 전에 반드시 관련 법규 및 규정을 확인해야 한다.
관련 용어
- 스캐너
- 네트워크 보안
- 취약점 분석
- 이미지 스캐닝
- 의료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