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7,504건

스님

스님은 불교에서 출가하여 승려의 생활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 존칭이다. 출가는 세속의 삶을 떠나 불교의 수행자의 길을 걷겠다는 서원을 세우는 것을 의미한다. 스님은 불교의 가르침에 따라 수행하며, 계율을 지키고, 중생을 제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어원 및 용례:

"스님"은 "승려(僧侶)"의 준말이며, "스님"이라는 호칭은 한국 불교에서 주로 사용되는 존칭이다. 불교 국가에 따라 다양한 호칭이 존재하며, 한국에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스님이라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간혹 나이가 많거나 높은 지위에 있는 스님에게는 "대스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구니(比丘尼)는 여승을 의미하는 단어로, 스님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된다.

수행과 역할:

스님은 불교의 가르침을 배우고 실천하며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추구한다. 기도, 명상, 독경 등 다양한 수행 방법을 통해 마음을 닦고 정신적인 성숙을 이루어 나간다. 또한, 스님은 불교의 가르침을 전파하고, 중생을 제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찰에서 불교 의식을 집전하거나, 설법을 통해 불교의 가르침을 전달하며, 신자들의 고민을 상담하고, 사회봉사 활동에도 참여한다. 불교 사찰의 종류와 스님의 역할에 따라 그 책임과 역할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계율과 규칙:

스님은 불교의 계율을 준수하며 생활한다. 계율은 스님의 수행 생활을 지도하고 윤리적인 행동을 규정하는 중요한 규범이다. 계율의 종류와 내용은 불교 종파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계율 준수를 통해 스님들은 정신적인 수련을 쌓고, 세속적인 유혹을 극복하며, 올바른 삶을 추구한다.

종파와 차이:

불교는 여러 종파로 나뉘어 있으며, 각 종파에 따라 스님들의 수행 방식, 계율, 의식 등에 차이가 존재한다. 대한불교조계종, 대한불교천태종 등 한국의 주요 불교 종파들은 서로 다른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님들의 생활 방식에도 차이가 나타난다.

현대 사회에서의 스님:

현대 사회에서 스님들은 불교의 가르침을 전파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환경 보호, 인권 운동, 교육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에 기여하며, 현대 사회의 문제 해결에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