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32건

순선무악 가선가악

순선무악 가선가악은 조선 시대 연회에서 연행되었던 음악과 무용의 한 종류이다.

개요

순선무악(純善舞樂)과 가선가악(嘉善歌樂)은 궁중 연향에서 선보였던 정재(呈才)의 일종으로, 특히 진연(進宴)이나 진찬(進饌)과 같은 큰 규모의 연회에서 연행되었다. 이는 단순히 흥을 돋우는 것을 넘어, 왕실의 권위를 드러내고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특징

  • 음악: 순선무악과 가선가악에 사용된 음악은 아악(雅樂)과 당악(唐樂)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웅장하고 화려한 선율이 특징이다. 악기 편성은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편종, 편경, 방향, 당피리, 대금, 해금, 장구 등 다양한 악기가 사용되었다.

  • 무용: 무용은 정재무(呈才舞)의 형태를 띠며, 무용수들은 화려한 복식을 착용하고 궁중 무용 특유의 절제되고 우아한 움직임을 선보였다. 무용의 내용 또한 왕실의 번영과 태평성대를 축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가사: 노래 가사는 주로 한시(漢詩)로 이루어져 있으며, 왕의 덕을 칭송하거나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는 내용이 많다.

역사

순선무악과 가선가악은 조선 초기부터 연행되었으며, 시대에 따라 음악과 무용의 형태가 조금씩 변화되었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순조, 헌종, 고종 대에 이르러 더욱 화려하고 성대하게 연행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참고 문헌

  • 《조선왕조실록》
  • 《악학궤범》
  • 《진찬의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