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7,741건

자동출입국심사

자동출입국심사 (Automatic Immigration Clearance)는 출입국 심사관의 대면 심사 없이 여권 및 생체 정보(지문, 얼굴 등)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출입국 심사를 진행하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인 출입국 심사대에 비해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출입국 심사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요

자동출입국심사는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출입국 절차를 간소화한 시스템으로, 전 세계적으로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8년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점차 확대되어, 현재는 대부분의 국제공항 및 항만에서 이용 가능하다.

이용 조건

자동출입국심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전에 등록 절차를 거쳐야 한다. 등록 시에는 여권 정보와 생체 정보를 등록하며, 일정 조건(예: 대한민국 국민, 만 14세 이상 등)을 충족해야 한다. 국가별, 공항별로 이용 조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용 전에 해당 기관의 안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동 원리

자동출입국심사대는 여권 스캔, 지문 인식, 얼굴 인식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용자는 자동출입국심사대에 여권을 스캔하고, 지문 또는 얼굴 정보를 인식시켜 본인 여부를 확인받는다. 시스템은 등록된 정보와 스캔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출입국 심사를 완료한다.

장점

  • 시간 단축: 출입국 심사 대기 시간을 줄여준다.
  • 편의성 향상: 심사관과의 대면 심사 없이 간편하게 출입국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 효율성 증대: 출입국 심사 인력의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단점

  • 등록 필요: 사전에 자동출입국심사 이용 등록을 해야 한다.
  • 기기 오류: 기기 오류 발생 시 이용이 지연될 수 있다.
  • 보안 문제: 시스템 해킹 등 보안 문제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관련 용어

  • 여권: 국가가 자국민에게 발급하는 국제적인 신분 증명서.
  • 생체 정보: 지문, 얼굴, 홍채 등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신체적 특징 정보.
  • 출입국 관리: 국가가 자국을 출입하는 사람과 물품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행정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