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한
소한(小寒)은 24절기 중 23번째 절기로, 양력 1월 5일 또는 6일경에 해당하며, 동지(冬至) 후 약 15일, 대한(大寒) 전 약 15일에 위치한다. 태양 황경이 285도에 이를 때를 의미한다.
개요
소한은 '작은 추위'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우리나라에서 1년 중 가장 추운 시기이다. 이는 소한 이후에 북쪽으로부터 찬 대륙 고기압의 세력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한이 소한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처럼 대한보다 소한이 더 춥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의미와 풍속
농경 사회에서는 소한 때부터 본격적인 겨울 준비를 시작했다. 섣달 추위는 벼 짚으로 덮은 움 안의 김장독을 얼지 않게 하는 등, 추위에 대비하는 데 온 힘을 기울였다. 또한, 새해를 맞이하기 위한 준비를 하며, 따뜻한 음식으로 몸을 보호하고 건강을 챙기는 데 힘썼다. 과거에는 소한 추위가 심하면 흉년이 든다고 여겨 풍년을 기원하는 풍속도 있었다.
기후
소한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북반구 지역에서 겨울철의 특징적인 기후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시기이다.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춥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며, 눈이 내리는 경우도 잦다.
현대적 의미
현대에 들어서는 농경 사회의 풍속보다는 겨울철 건강 관리에 더욱 주목하는 시기이다. 추위에 대비하여 따뜻하게 옷을 입고, 실내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며, 충분한 영양 섭취를 통해 면역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