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도가
세도가는 조선 시대 특정 가문이 권력을 독점하여 국정을 좌우하던 현상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단순히 고위 관직을 차지하는 것을 넘어, 왕실과의 혼인 관계, 정치적 기반, 경제력 등을 바탕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국가의 주요 정책 결정에 개입했다. 세도정치는 왕권 약화와 더불어 정치 기강 문란, 삼정의 폐단 심화 등 다양한 사회 문제의 원인이 되었다.
세도 가문의 특징
- 권력 독점: 특정 가문이 주요 관직을 독점하며 인사권을 좌우했다.
- 왕실과의 관계: 왕실과의 혼인 관계를 통해 권력을 강화했다.
- 경제력: 광범위한 토지와 노비를 소유하며 막대한 경제력을 축적했다.
- 정치적 기반: 자신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정치 세력을 형성했다.
세도정치의 폐단
- 왕권 약화: 세도가의 권력 강화로 왕권이 약화되었다.
- 정치 기강 문란: 매관매직이 성행하고 부정부패가 만연했다.
- 삼정의 폐단: 전정, 군정, 환곡 등 삼정의 문란이 심화되어 농민들의 생활이 어려워졌다.
- 민생 악화: 탐관오리의 횡포와 가혹한 수탈로 민중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대표적인 세도가
- 안동 김씨: 순조, 헌종, 철종 대에 걸쳐 세도정치를 주도했다.
- 풍양 조씨: 헌종 대에 안동 김씨와 함께 세도정치를 주도했다.
세도정치의 종식
고종 즉위 후 흥선대원군의 개혁 정책 추진으로 세도정치는 종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