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507건

백과

백과는 인간의 지식을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저술 또는 그러한 체제를 갖춘 정보 자원이다. 좁은 의미로는 특정한 주제 분야를 망라하는 백과사전(encyclopedia)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다양한 형태의 지식 정보 제공 매체를 포괄한다.

어원 및 역사

"백과(百科)"라는 용어는 '온갖 것' 또는 '모든 것'을 의미하는 한자어에서 유래한다. 백과는 인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으며, 고대 문명에서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양한 학문 분야를 포괄하는 저술을 남겼으며, 로마 시대의 플리니우스는 《박물지》를 통해 자연 현상과 인문 지식을 집대성했다. 중세 시대에는 수도원을 중심으로 지식의 보존과 전수가 이루어졌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지식의 확산이 가속화되었다.

현대적 의미

현대 사회에서 백과는 단순한 지식 정보 제공을 넘어, 정보의 탐색, 분석, 활용을 위한 도구로 활용된다. 전통적인 인쇄 매체 형태의 백과사전 외에도, 인터넷 기반의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 기반의 협업 백과사전 등이 등장하여 지식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위키백과는 대표적인 협업 백과사전으로, 전 세계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지식 정보를 구축하고 공유하는 플랫폼이다.

백과의 종류

  • 일반 백과사전: 모든 학문 분야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백과사전 (예: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전문 백과사전: 특정 학문 분야 또는 주제를 심층적으로 다루는 백과사전 (예: 의학 백과사전, 법학 백과사전)
  • 어린이 백과사전: 어린이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제작된 백과사전
  • 온라인 백과사전: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한 백과사전 (예: 위키백과)

백과의 중요성

백과는 지식 정보의 체계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학습, 연구, 의사 결정 등 다양한 활동에 기여한다. 또한, 지식 정보의 공유와 확산을 통해 사회 전체의 지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 사회에서 백과는 단순한 지식 저장소를 넘어, 지식 정보의 창출, 편집, 유통을 위한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