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
성별은 생물학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구분되는 남성과 여성의 범주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는 생식 기관, 염색체 구성, 호르몬 등의 생물학적 특징에 기반한 '생물학적 성(sex)'과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학습되는 역할, 행동, 표현 양식 등을 의미하는 '사회적 성(gender)'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생물학적 성 (Sex)
생물학적 성은 일반적으로 출생 시 외부 생식기의 형태나 염색체 (예: XX 여성, XY 남성)에 따라 결정된다. 하지만 염색체 이상, 호르몬 불균형 등으로 인해 전형적인 남성 또는 여성의 생물학적 특징을 모두 갖추지 못한 경우도 존재하며, 이러한 경우를 간성(Intersex)이라고 한다.
사회적 성 (Gender)
사회적 성은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남성성과 여성성을 정의하고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성별에 따른 기대, 역할, 행동 양식 등을 포함하며, 사회 구성원들은 이러한 사회적 성 역할을 내면화하고 실천하면서 자신의 성 정체성을 형성해 나간다. 사회적 성은 문화와 시대에 따라 변화하며, 고정된 개념이 아니다.
성 정체성 (Gender Identity)
성 정체성은 개인이 자신을 남성, 여성, 또는 그 외의 성별로 인식하는 주관적인 경험이다. 이는 생물학적 성과 일치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자신의 생물학적 성과 성 정체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트랜스젠더(Transgender)라고 지칭한다.
성 역할 (Gender Role)
성 역할은 특정 성별에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사회적 행동, 태도, 특성 등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남성과 여성에게 고정적인 성 역할이 강요되었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젠더 연구 (Gender Studies)
젠더 연구는 사회적 성의 의미와 역할, 성별 간의 관계, 성 불평등 문제 등을 다양한 학문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는 여성학, 남성학, 퀴어 이론 등 다양한 하위 분야를 포함하며, 성 평등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