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057건

성게

성게는 극피동물문 성게강에 속하는 해양 동물이다. 전 세계 해양, 특히 암반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구형 또는 납작한 형태의 몸에 가시가 돋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생태 및 특징

  • 형태: 몸은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단단한 껍데기(각)로 덮여 있으며, 표면에는 가시와 관족이 돋아 있다. 가시는 이동, 방어, 먹이 획득 등에 사용된다. 관족은 흡반 역할을 하여 이동과 먹이 섭취를 돕는다.

  • 서식지: 조간대에서부터 심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심에 서식하며, 암초, 해조류 숲, 모래 바닥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된다.

  • 식성: 주로 해조류를 먹지만, 유기물, 죽은 동물, 다른 무척추동물 등을 먹기도 한다. 입은 몸의 아랫부분에 위치하며, 강력한 이빨을 가진 저작 기관인 아리스토텔레스의 등불을 사용하여 먹이를 갉아 먹는다.

  • 번식: 암수 구분이 있으며, 체외 수정을 한다. 알은 바다를 떠돌아다니는 유생 단계를 거쳐 성체로 변태한다.

분류

성게강은 형태와 생태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목과 과로 나뉜다. 대표적인 종류로는 말똥성게, 보라성게, 둥근성게 등이 있다.

인간과의 관계

  • 식용: 일부 종은 식용으로 이용된다. 특히 생식소(성게소, 우니)는 고급 식재료로 여겨지며, 독특한 풍미와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고 있다. 한국, 일본, 유럽 등에서 즐겨 먹는다.

  • 연구: 성게는 발생학, 생리학, 유전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활용된다. 수정란의 관찰이 용이하고, 유전자 조작이 비교적 쉽기 때문이다.

  • 위협: 해양 오염,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으며, 과도한 포획 또한 개체수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

참고 문헌

  • (가상의 참고 문헌 정보) 해양생물학 개론, 김해양, 2023
  • (가상의 참고 문헌 정보) 한국 연안의 성게, 박연안,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