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4,841건

병리사

병리사는 의료기관의 병리과 등에서 병리학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질병의 진단 및 연구에 필요한 검사를 수행하는 의료기사 직종 중 하나이다. 주로 병리 의사(Pathologist)를 보조하며, 조직 검사 및 세포 검사 등의 기술적인 업무를 담당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대개 임상병리사 면허를 취득한 후 병리 분야에서 수련하거나 근무한 경력을 가진 전문가가 이 역할을 수행한다.

주요 업무

병리사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 검체 접수 및 처리: 생검, 수술 검체, 세포 검체(세포진단용) 등 다양한 종류의 검체를 접수하고 환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 육안 관찰 및 채취: 수술로 적출된 큰 조직 검체의 경우, 육안으로 병변의 위치, 크기, 형태 등을 관찰하고 기록하며, 병리 의사의 지시에 따라 현미경 검사를 위한 조직 조각을 채취(Sampling)한다.
  • 조직 처리 및 염색: 채취된 조직 조각을 포르말린 등에 고정하고, 파라핀 블록 제작을 위한 탈수, 투명, 침투 과정을 거친다. 제작된 블록을 박절기(Microtome)를 이용하여 수 마이크로미터(μm) 두께로 얇게 잘라 슬라이드에 부착한다. 이후 헤마톡실린-에오신(H&E) 염색 등 기본적인 염색을 수행하며, 필요한 경우 특수 염색이나 면역조직화학 염색 등을 시행한다.
  • 세포 검체 처리: 세포진단 검체(예: 자궁경부 세포, 체액 등)를 슬라이드에 도말하거나 원심 분리하여 세포를 농축시키는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적절한 염색을 시행한다.
  • 현미경 검사 지원: 제작된 슬라이드를 병리 의사에게 제공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현미경으로 슬라이드를 1차적으로 관찰하여 이상 소견 유무를 파악하고 병리 의사의 진단을 돕는 예비 판독 업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 정도 관리 및 장비 관리: 병리 검사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유지하기 위한 내부/외부 정도 관리에 참여하고, 조직 처리 장비, 박절기, 염색 장비 등 병리실험실의 각종 장비를 유지 및 관리한다.
  • 부검 지원: 병리 의사의 지도 하에 부검 과정을 보조하기도 한다.

병리사는 질병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핵심적인 기술 인력으로서 병리 의사와 긴밀하게 협력하며 환자의 치료 방침 결정에 중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