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7,115건

섬유소성괴사

섬유소성 괴사 (Fibrinoid necrosis)는 혈관벽과 조직 내에 섬유소와 유사한 물질이 침착되어 발생하는 특수한 형태의 괴사를 말한다. 주로 면역 복합체, 섬유소 및 면역글로불린 등이 침착되면서 혈관벽과 주변 조직이 손상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염증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 혈관염 등 다양한 병리적 상황에서 관찰될 수 있다.

특징

  • 발생 기전: 면역 복합체 침착, 혈관 손상, 섬유소 침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 조직학적 소견: 조직 염색 시 호산성(eosinophilic)을 띠는 무정형 물질이 혈관벽 또는 조직 내에 침착된 형태로 나타난다. 이 물질은 현미경 관찰 시 섬유소와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 주요 관련 질환:
    • 전신 홍반 루푸스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특히 신장 사구체에서 섬유소성 괴사가 관찰될 수 있다.
    • 악성 고혈압 (Malignant Hypertension): 작은 동맥 및 세동맥 벽에 섬유소성 괴사가 발생할 수 있다.
    • 다발혈관염 (Polyarteritis Nodosa): 혈관벽에 섬유소성 괴사가 나타나 혈관 폐쇄 및 조직 허혈을 유발할 수 있다.
    • 류마티스열 (Rheumatic Fever): 심장, 관절, 피부 등에 섬유소성 괴사가 나타날 수 있다.

진단

섬유소성 괴사는 조직 생검을 통해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한다. 특수 염색 기법 (예: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사용하여 섬유소 침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면역 형광 검사를 통해 면역글로불린 및 보체 성분의 침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임상적 의의

섬유소성 괴사는 다양한 질환의 병리적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소견이다. 해당 질환의 진단, 예후 판단, 치료 방향 설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루푸스 신염 환자에서 섬유소성 괴사의 정도는 신장 손상의 심각도를 반영하며, 치료 반응을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